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0370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고객의 약관 동의를 얻어서 수집된 1~n번으로 분류되는 개인정보 n개가 있습니다. 약관 종류는 여러 가지 있으며 각 약관마다 개인정보 보관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당신은 각 개인정보가 어떤 약관으로 수집됐는지 알고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유효기간 전까지만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반드시 파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약관의 유효기간이 12 달이고, 2021년 1월 5일에 수집된 개인정보가 A약관으로 수집되었다면 해당 개인정보는 2022년 1월 4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2022년 1월 5일부터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당신은 오늘 날짜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들을 구하려 합니다.
모든 달은 28일까지 있다고 가정합니다.
다음은 오늘 날짜가 2022.05.19일 때의 예시입니다.
약관 종류 | 유효기간 |
A | 6 달 |
B | 12 달 |
C | 3 달 |
번호 | 개인정보 수집 일자 | 약관 종류 |
1 | 2021.05.02 | A |
2 | 2021.07.01 | B |
3 | 2022.02.19 | C |
4 | 2022.02.20 | C |
• 첫 번째 개인정보는 A약관에 의해 2021년 11월 1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두 번째 개인정보는 B약관에 의해 2022년 6월 2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 세 번째 개인정보는 C약관에 의해 2022년 5월 1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네 번째 개인정보는 C약관에 의해 2022년 5월 19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따라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는 [1, 3]입니다.
오늘 날짜를 의미하는 문자열 today, 약관의 유효기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terms와 수집된 개인정보의 정보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privaci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1차원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today는 "YYYY.MM.DD" 형태로 오늘 날짜를 나타냅니다.
- 1 ≤ terms의 길이 ≤ 20
- 1 ≤ privacies의 길이 ≤ 100
- today와 privacies에 등장하는 날짜의 YYYY는 연도, MM은 월, DD는 일을 나타내며 점(.) 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입력만 주어집니다.
코드
# Lv.1
# 개인정보 수집 유효기간
def solution(today, terms, privacies):
today = dateToDay(today)
# print(today)
terms_dic = {}
for i in range(len(terms)):
terms_dic[terms[i][0:1]] = int(terms[i][2:])
answer = []
for i in range(len(privacies)):
privacy = privacies[i][-1]
deadline = privacies[i][0:10]
deadline = dateToDay(deadline) + terms_dic[privacy] * 28
# print(privacy, deadline)
if deadline <= today:
answer.append(i + 1)
return answer
def dateToDay(date):
y, m, d = map(int, date.split("."))
return y * 28 * 12 + m * 28 + d
알고리즘
1. terms의 정보를 key: 종류, value: 기간(달)을 지닌 사전 구조에 저장한다.
2. 날짜를 일(하루)로 변환하는 dateToDay 함수를 통해 오늘 날짜를 일로 변환한다.
3. privacies마다 각 정보의 정책 종류를 확인한다.
4. 각 정보마다 일로 변환하고, 정책 기간을 더해서 유효기간을 구한다.
5. 오늘과 유효기간을 비교하여, 만약 유효기간이 오늘의 이하 값을 가진다면 정보의 순서를 파기할 목록에 추가한다.
6. 파기할 정보의 목록을 반환한다.
피드백
처음엔 아래대로 코드를 구현했었다.
def solution(today, terms, privacies):
now_y = int(today[0:4])
now_m = int(today[5:7])
now_d = int(today[8:10])
terms_dic = {}
for i in range(len(terms)):
terms_dic[terms[i][0:1]] = int(terms[i][2:])
answer = []
for i in range(len(privacies)):
y = int(privacies[i][0:4])
m = int(privacies[i][5:7])
d = int(privacies[i][8:10])
privacy = privacies[i][-1]
temp = m + terms_dic[privacy]
m = temp % 12
y += temp // 12
if y > now_y:
continue
elif y < now_y:
answer.append(i + 1)
elif y == now_y:
if m > now_m:
continue
elif m < now_m:
answer.append(i + 1)
elif m == now_m:
if d > now_d:
continue
else:
answer.append(i + 1)
return answer
각 정보다마 년, 월, 일 정보를 따로 저장하고 계산하고 확인했었다. 딱 나의 사고 구조에 따라 코드를 구현했었다. 그러나 두 개의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하지 못했고, 이유를 알 수 없었다.
그래서 검색을 통한 결과 간단하게 날짜를 비교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아래 링크에서의 함수를 통해 모든 날짜를 일로 변환하여 비교도 가늠도 쉽게 해낼 수 있다.
[알고리즘] Programmers 개인 정보 수집 유효기간 #Python
[알고리즘] Programmers 개인 정보 수집 유효기간 #Python
velog.io
또한 왜 deadline이 오늘과 동일해도 정보를 파기해야 하는가에 대해 잠깐 헷갈렸다. 그러나 정보를 만드는 날을 포함하여 정책대로 보관하기 때문에 사실 유효기간은 deadline - 1(하루)이 옳다. 그래서 deadline이 오늘과 같다면 파기해야 한다.
'Python 알고리즘 공부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자열 나누기 (python) (0) | 2023.05.23 |
---|---|
크기가 작은 부분문자열 (python) (0) | 2023.05.22 |
둘만의 암호 (python) (0) | 2023.05.18 |
달리기 경주 (python) (0) | 2023.05.16 |
광물 캐기 (python) (0) | 2023.05.13 |
댓글